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6

코로나 4차 대유행 3월 4월 가능성 2월5일 코로나 확진자 상황 2월 5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수가 370명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11월부터 이어진 ‘3차 대유행’의 확진세는 감소했지만, 계속되는 집단·일상 감염에 확진자수는 300~400명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1주일간 신규 확진자는 456명→355명→305명→336명→467명→451명→370명이고, 신규 확진자 중 지역발생이 351명, 해외유입이 19명입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122명, 경기 110명, 인천 25명 등 수도권이 257명, 부산 33명, 대구·광주 각 14명, 충남 11명, 경북·경남 각 6명, 강원 5명, 충북 3명, 제주 2명 등 비수도권이 94명입니다. 코로나19 4차 대유행 가능성 영국발 변이바이러스의 집단 감염 설 연휴를 앞두고 코로나19 재확산에 .. 2021. 2. 5.
코로나 백신 우선순위, 접종 순서, 접종 시기 1월 28일, 질병청 '예방접종 시행 계획' 발표 1월 28일 질병관리청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접종 시행 계획을 발표했는데요, 정은경 질병청장은 "사망자를 최소화하고 지역사회 전파 차단을 위해 11월까지 집단 면역 형성을 목표로 하는 코로나19 예방접종을 2월부터 차례대로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우선접종대상자 선정 기준 정부는 1. 코로나 감염 시 중증 진행 위험 2. 의료와 방역체계 유지 3. 코로나 전파 특성 등을 고려해서 접종 우선순위를 정했습니다. 백신 접종 순서 1. 코로나 방역 최전선 의사·간호사 등 5만명 우선 접종 처음으로 백신을 맞게 될 대상은 거점전담병원과 감염병전담병원, 중증환자 치료병상 운영 병원, 생활치료센터 등에서 코로나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진 약 5만.. 2021. 1. 28.
2030년까지 담뱃값 8000원으로 인상? 2018년 기준 70.4세인 건강수명을 2030년 73.3세로 3년 연장하기 위해 정부가 담뱃값을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으로 올리고 주류에 건강증진부담금을 도입하는 중장기 건강증진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참고로 건강수명은 기대수명에서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한 유병 기간을 뺀 수치입니다. 보건복지부는 이렇게 1월 27일 올해부터 2030년까지 시행할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발표했는데요, 2021년 기준 2조5,000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예정입니다. 추진배경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2018년 기준 82.7세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80.7세를 웃돌지만, 유병기간은 2008년 10.7년에서 2018년 12.3년으로 함께 증가했습니다. 즉 건강수명은 70.4세로 기대수명보다 약 12년 정도 짧습니.. 2021. 1. 28.
1월 20일 24절기 중 마지막 절기 '대한', 추위에 좋은 음식먹고 힘내요 1월 20일 절기 대한 "대한이가 소한이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 "소한에 얼어 죽은 사람은 있어도 대한에 얼어 죽은 사람 없다" “소한의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 이런 대한 추위 속담 들어보셨죠? 1월 20일 오늘은 대한은 24절기 가운데 마지막 절기인 대한(大寒)입니다. ‘큰 추위’라는 뜻으로 소한(小寒) 다음으로 가장 강력한 한파가 오는 때라고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1년 중 가장 추운 때는 사실 소한입니다. 그래서 위와 같은 속담들이 생겨나게 되었죠. 오늘 아침 최저기온이 최대 -15도 이하까지 떨어질만큼 춥겠지만 낮에는 어제보다 훨씬 따뜻해지면서 추위가 풀린다고 해요. 이제 겨울이 끝나가고 있습니다:) 24절기의 유래 전통 농경사회에서는 자연 현상에 의한 기후의 변화가 농사에 매우 중요하고.. 2021. 1. 20.
반응형